• 미디어 리터러시
  • 2024. 8. 18. 23:41
  •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어린이, 청소년, 성인 등 전 연령층에서 미디어 사용이 늘었으며, 이로 인한 성범죄 등 디지털 피해도 심각해졌다. 이에 따라,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우선 미디어 리터러시는 미디어와 리터러시의 합성어로, 미디어 리터러시(media literacy)는 다양한 매체를 이해할 수 있고, 다양한 형태의 메시지에 접근하여 메시지를 분석하고 평가하고 의사소통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한다. 이러한 미디어 리터러시가 있는 사람은 인쇄매체와 방송매체를 해석하고, 평가하고 분석하고 생산할 수 있다.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은 전 세계적으로 실시되고 있다.

    캐나다의 한 학교에서는 "미디어 스마트(Media Smarts)"라는 프로그램을 통해 학생들에게 미디어 리터러시를 가르치고 있다. 미디어 스마트에서는 미디어 리터러시가 세 단계(학생들의 미디어 리터러시 핵심 개념에 대한 이해도, 미디어 리터러시 활동에서의 학생들의 태도, 미디어와 관련된 제작 기술)로 평가되어야 한다고 제안했다.

    덴마크의 한 중학교에서는 "미디어와 가치(Media and Values)"라는 교과목을 통해 학생들에게 미디어의 영향력과 책임에 대해 가르친다. 학생들은 다양한 미디어 형식과 콘텐츠를 분석하고, 문화적, 사회적, 정치적 가치에 대한 이해를 개발하며, 이를 통해 학생들은 자신의 의견을 형성하고, 타인의 의견에 대해 존중하며, 미디어를 효과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을 배우게 된다.

    미국 학교들은 학생을 중심으로 한 미디어 활동을 활발히 진행하고 있는데, 미국 학교에서 학생 주도의 미디어 활동은 다음과 같은 특성이 있다. 첫째, 미디어 활동은 잡지와 책, 라디오, TV와 같은 레거시 미디어뿐 아니라, 블로그, 홈페이지, 실시간 인터넷 스트리밍 방송 등의 디지털 미디어를 함께 활용하고 있다. 둘째, 학생들의 미디어 활동과 지역사회가 결합한 사례를 종종 찾아볼 수 있다.

    국내에서도 여러 미디어 활동들이 있지만, 다른 나라의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과는 다르게, 학보사와 방송국 이상의 미디어 이상의 미디어 활동들이 많지 않다. 또한, 관련 학생들의 동아리가 중심이 되어 학교 학생 전체로의 확장이 쉽지 않다는 점 또한 다르다.

    이러한 단점들을 보완하기 위해서는, 교육 정책의 변화와 학생들의 인식 변화가 필요하다.

    먼저 교육 정책 변화의 관점에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이 더 활발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미디어 리터러시 역량 증진을 위한 교육과,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디지털 범죄 방지, 유해매체로부터의 보호 등을 포함하는 안전 교육, 디지털 활용에 관한 윤리/태도 교육이 병행되어야 한다. 또한, 청소년들이 다양한 기관에서 미디어를 통한 정치 사회적 참여를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여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을 통해 학습한 것들을 활용할 수 있게 해야 한다.

    다음으로 학생 인식 변화의 관점에서, 학생들은 지금까지 수동적이고 소극적인 방식으로 미디어 활동을 이어나가고 있었다. 교육의 효과를 더 키우기 위해, 학생들은 더 주체적이고 민주적인 방식으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에 참여해야 한다. 또한, 소수의 관련 학생들만 미디어 활동에 참여하기보다는 학교의 학생이 모두 함께 소통하고, 상호작용하며 미디어 활동을 이어나가야 할 필요가 있다.

    변화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은 학생들이 건전한 미디어 문화를 주체적으로 만들어나갈 시작점이 될 것이다.





    김지윤 작성.

    COMMENT